히브리서 5:1~6:20 스스로 공부하기_질문지 히브리서 5장 5:1–4 — 구약 대제사장의 자격과 사명 1. 구약에서 대제사장은 어떤 기준과 절차로 세워졌나요? (출 28–29장, 레 8–9장) 
 
 2. “사람 가운데서 택함”과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과 제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1절) (생각하기) 나는 내 주변 사람들의 기쁨과 아픔을 하나님께 ‘대표’로 가지고 나아가는 기도의 자리에 서고 있나요? 3. 대제사장이 “연약한 자를 능히 용납”하는 것은 구약 제사 제도의 어떤 본질을 보여주나요?(2절) (생각하기) 내가 누군가의 부족함과 실수를 대할 때, 정죄와 무관심 사이에서 ‘은혜의 균형’을 잡는 태도를 얼마나 실천하고 있나요? 4.“스스로 존귀를 취하지 못한다”말씀은 하나님의 부르심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말하고 있는 건가요?(4절)   
 
 5:5–10 — 그리스도의 멜기세덱적 제사장직 1. “멜기세덱의 반차”라는 표현이 가지는 구약적 배경과 의미는 무엇인가요?(6절) (창 14:18–20, 시 110:4) 
 
 2. 5:7의 “심한 통곡과 눈물”의 기도는 겟세마네 사건과 어떻게 연결되며, 중보사역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7절) 
 
 3. “아들이시면서도 고난을 통하여 순종함을 배워서”라는 말씀은 무슨 뜻인가요?(8절) 
 
 4.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대제사장직이 아론 계열 제사장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10절)  → 왜 히브리서 저자는 이 점을 강조했을까요?   
 5:11–14 — 영적 미성숙에 대한 경고 1. “듣기에 둔하다”는 표현이 당시 독자들의 어떤 영적 상태를 묘사하나요?(11절) 
 
 2. ‘젖’과 ‘단단한 음식’의 비유가 성경 전체(고전 3:1–3 등)에서 어떻게 쓰였나요?(13~14절) → ‘젖만 먹는 어린아이’와 ‘단단한 음식’을 먹는 장성한 자의 차이는? 
 
 3. 5:14에서 “지각을 사용함으로 연단된 자”란 어떤 사람인가요? 
   
 (다음장에 계속) 
 
 
 
 
 
 
 
 
   
 히브리서 6장  1–3절 | 영적 성숙으로 나아가라 1. 6:1에서 말하는 “그리스도의 도의 초보”는 무엇을 가리키나요?(1절) 2. ‘죽은 행실에서의 회개’, ‘세례들’, ‘안수’, ‘죽은 자의 부활’과 같은 표현이 1세기 유대–그리스도인에게 어떤 의미였나요?(1~2절) 3. 왜 히브리서 저자는 “완전한 데 나아갈지니라”라고 명령할까요?(2절) (생각하기) 지금의 신앙 여정에서 ‘더 깊이 나가야 할’ 영역이 있다면 무엇이 있나요? 
 
 4–8절 | 배교의 심각성 1. 6:4–5에서 묘사되는 사람들의 영적 경험은 어떤 것인가요?  → 빛을 받고, 하늘의 은사를 맛보고, 성령에 참여했다는 말의 깊은 의미는?   
 2. 6:6에서 말하는 “다시 새롭게 하여 회개하게 할 수 없다”는 경고는 어떤 상황을 의미하나요?  → 이것이 ‘구원의 상실’을 의미하는지, ‘결코 회개하지 않는 완고함’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해석할 수 있나요? 
 
 3. ‘가시와 엉겅퀴’ 비유가 구약에서 어떤 맥락으로 쓰였나요?(8절) (창 3:18, 사 5:6) (생각하기) 하나님의 은혜의 비를 받고도 열매 맺지 못하게 가로막는 나만의 ‘가시’는 무엇인가요? (생각하기) 어떻게 해야 다른 사람의 신앙이 자라도록 돕는 ‘좋은 밭’의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4. 6:7–8의 ‘좋은 땅’과 ‘가시덤불’ 비유는 어떤 결론을 말하나요?  → 이것이 교회 공동체에 주는 경고는 무엇인가요?   
 9–12절 | 더 좋은 것과 소망에 대한 확신 1. 왜 저자는 독자들에게 ‘더 좋은 것’을 확신한다고 말하나요?(9절)  → 이 확신의 근거는 무엇인가요?
    
 
  13–20절 | 하나님의 약속과 맹세 1.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과 맹세(창 22:16–17)는 어떤 의미인가요?   
 
 2. ‘두 가지 변하지 못할 사실’(하나님의 약속과 맹세)의 의미는 무엇인가요?(18절) 
 
 3. 왜 저자는 하나님의 약속을 “영혼의 닻”에 비유했을까요?  → 이것이 신앙생활에서 주는 안정감은 무엇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