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 Study

Spiritual Growth

Bible Study

Title2024년 9월 11일 갈라디아서 성경 공부2025-08-18 09:34
Name Level 10

20249 11일 갈라디아서 성경 공부

말씀 : 갈라디아서 3

숙제 점검 및 2장 리뷰

2장에서 특히 기억에 남는 말씀이 있나요?

2:20 을 자신의 언어로 바꾸거나 암기 하셨나요? 함께 암기 해 보겠습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 2:20)

이제 내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와 함께 나의 모든 삶에서 상처 와 허물과 교만 과 자랑을 모두 십자가에 못박았습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고, 오직 나의 삶의 주인이신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삶으로 사는 것입니다. 하지만, 나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하나님의 법과 하나님을 사랑함으로 살아가려 하지만, 연약한 육체가 나를 지속적으로 어렵게 하기 떄문에 나는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나를 사랑하사 자기 몸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 우리 주 그리스도을 믿는 믿음으로 살아가길 고백 합니다. “   

갈라디아서 31 – 22

1.     1– 5: 율법으로 돌아 가려는 갈라디아 사람들 에게 성령을 받은 것은 믿음 이다. 라는 것을 강조 하고 있습니다.  Key Word : 율법 과 성령

생각해보기 1 : 단락을 나누고 단락별 소제목을 붙히고, 원독자에게 주고자 하는 메세지와 지금 우리을 위해 주시는 메세지는 무엇 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단락에서 (paragraph) 에서 이해 않되는 말씀은 어디 이며, 이것을 알기 위해 원어의 단어의 의미 또는 당시 상황에 따른 깊은 의미는 없는지 봐야 합니다. , 절대 진리을 찾으려는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바울은 지속적으로 반어법을 사용하며 묻습니다 성령을 주시고 우리 가운데 능력으로 행하게 하신것이 율법의 행위 이냐 아니면, 믿음에서 이냐 라고 5절에 묻고 있으며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반어법을 사용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강조 하고 있습니다.

생각해 보기 2: 갈라디아 교회에서 왜 율법의 행위 (할례)을 강조 했을까요?

유대인의 정체성: 1) (가나안), 2) 성전, 3) 할례(구별된 정체성)

나눔 1: 그들은 왜 한 교회에서 나눔을 과 분열을 조장 하며 선 가르기를 하려고 할까요?

나눔 2 : 1-5절에서 우리을 위하여 주시는 메세지는 무엇인가요

2.     6– 14: 울법의 행위 와 믿음, 아브라함도 믿음으로 복을 받은 것에 대해 설명 하며, 복음의 본질에 대해 말씀 합니다.

생각해 보기 1 : 왜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할까요?

아브라함에게 명령하신 key word : 떠나라, 가라, 그리고 되라 

생각해 보기 2  : 아브라함을 가나안 땅으로 보내신 목적이 무엇인가요?

우리에게 주시는 메세지는 무엇이 있을까요?

생각해보기 3: 10절 이렇게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음을 다시 한번 말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3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신명기 21:23

생각해보기 4: 구원 (salvation) 과 속량 (redemption) 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14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 미치게 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 함이라.

질문 : 14절의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혀 저주를 받으신 이유 두가지는 무엇인가요?

 

3.     15 – 22 : 율법 과 언약 (약속) : 율법 보다 앞선 구원의 약속

질문: 15절에서 아브라함의 복은 무엇을 말하나요

참고 말씀: 12:7; 13:15-16, 17:7 ; 28 :13-15 ; 19 : 5

구원의 언약 3가지

- 평등 언약 : 결혼 언약 : 우상 숭배는 다른 사람과 간음 하는 것과 같습니다.

- 종주권 언약 : 시내산에서 10계명을 주신것

군주 언약 = 절대 언약.

질문 2: 17절 에서 미리 정하신 아브라함의 언약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생각해보기 1 : 15- 22절은 우리를 위해 어떤 메세지를 주고 있나요?

다음주는 323절 부터 4장 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