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1일 사도행전 전체적인 구성 및 배경 1.          유대인 이란? -               넓은 의미로는 아브라함으로 부터 시작 -               실제적인 시작은 바벨론에서 돌아와서 율법을 중심으로 재건 하였을 때 의미함 (에스라는 모세의 율법을 가르리면서 성전 과 율법 중심의 사회가 되었습니다) -               율법과 장로들의 전통 : '장로들의 전통'이란 랍비들이 발전시킨 율법에 대한 세부시행규칙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율법과 대등한 지위를 얻게 되었습니다. 2.          수백년 동안 자신들이 지켜오던 전통: 하나님 나라의 백성 (선민 사상) 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율법을 지키고, 장로들의 전통을 따라야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는 증표가 되고 있는 것을 예수님이 나타나셔서.. 본인 메시아 이며, 하나님의 아들이며 나를 통해서만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될수 있다고 전파하였기에 유대인들 과 반목하게 될수밖에 없던 것입니다. 3.          그러나 예수님의 공생애의 주요사역의 의미 -               Preaching -               Teaching -               Healing : 선지자들이 예언한 메시아가 하는 모습,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하기 위함, 치유를 통하여 영적 회복을 이루시기 위함이며, 의미적으로는 하나님과의 관계의 화목을 의미 하는 구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제자 양육 4.          유대인들이 믿고 따르는 구약에서 나타난 메시아의 증거의 말씀이 300 여곳에 증거하며 복음서에서 이것을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말씀이 있습니다. 5.          유대인들과 반목하시던 예수님을 십자가에 죽임  그러나 부활 하시고 승천 하시며, 제자들에게 지상 명령을 주심 6.          복음 전파을 전파 하라 -  어디 까지 : 성령이 임하면 예루살렘  사마리아  땅끝까지 왜? 제자를 삼기 위함, 제자를 삼는 방법은? 말씀을 가르치고 지켜 행하라 어디에서: 교회 공동체를 중심으로… 7.          사도 행전의 key word : 성령, 증인, 교회 공동체 8.          사도행전 정리 (1장 – 11장 : 주요 인물: 베드로와 사도들) 1)     예루살렘에서의 증거  (1:1 – 7:60): 복음의 전파  (베드로, 예루살렘 교회) -        오순절에 모인 제자들에게 성령의 임재함을 시작합니다. 성령를 채운 하나님의 임재을 상징 하는 것으로써 출애굽기를 기억하게 합니다. 바람과 불 ( 구름 기둥 과 불기둥 = 하나님의 임재) -        교회의 태동: 이스라엘을 대신 하여 예수님을 따르는 새로운 교회 공동체가 예수님의 새로운 가족이 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유대인의 세력과 부딪치는 장면들이 나오게 됩니다.   -        교회의 성장: 2장 -5장 까지 : 그들이 소유를 기부해 가난한 자들을 돕는 장면은 이스라엘 공동체가 하지 못한 일을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가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님 나라의 모델 하우스가 교회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교회의 집사들을 세우게 되고 -        6장 스데반의 박해 와 사울 (사도 바울의 출현) : 박해로 인해 공동체가 예루살렘을 떠나게 됩니다. 7장, 스테반의 순교 : 순교로 인한 영향력 (3가지 : 사도바울의 출현, 사마리아의 복음이 전해짐, 열방에 그리스도인들이 흧어지며 안디옥교회가 세워지고, 열방에 교회들이 세워짐) 2)     유대와 사마리아에서의 증거 (8:1 – 12:25); 빌립 -        8장의 빌립의 증거: 사마리아 -        사울의 회심 / 베드로의 증거 / 초대 교회의 증거와 역사하심 15장, 에루 살렘 공의회 : 이방인 에게도 복음을 전할수 있는 공문서을 작성함 3)     땅 끝까지 증거 (13: 1 – 28 : 31) : 바울의 전도 여행을 중심으로 진행됨, 나중에 지도 와 함께 다시 한번 소개의 시간을 가질 계획 입니다. 열방 과 열방의 교회 공동체. 선교의 목적은 제자 삼는 것입니다. 어디서 교회 공동체를 통해서 이기에 주요 목적 중에 하나는 교회 공동체를 세우는 것입니다. -        핵심 성경 말씀 13장 1절 (성경을 보자) : ppt 준비 13장, 안디옥 교회를 베이스로 하여 전도 여행 시작 바울과 바나바, 마가, 실라, 디모데, 누가… 1차, 2차, 3차, 4차 전도 여행 과 전도여행에서 세운 교회들에게 편지를 보냄 (바울 서신 13권) 바울 서신서를 중심으로 사도행전 중간 중간에 들어가는 바울서신의 설명 -               제 1차 전도 여행 : 주요 사건: 안디옥 교회에서 바나바 아 사울을 파송함,  마가 요한의 중도 포기 1차 전도 여행의 열매: 갈라디아 교회의 탄생 15장의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결정힌 내용: 이방인 신자들에게 할례를 받거나 토라의 율법을 지키지 않아도 되며, 이방인에게도 복음을 전하도록 공식적인 허가가 되어집니다.  이 사건이 우리의 입장에서는 큰 이슈가 아닌것 처럼 보일지 몰라도 이 사건은 정말 엄청난 기적과 같은 일 입니다. 왜냐면 아브라함 부터 지금 까지 하나님이 원하시는 축복의 통로의 삶을 살아야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사명을 지키지 않고 있다가 이제야 공식적으로 이방인에게도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엄청난 역활를 하게된 사건 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이러한 공문서를 들고 2차 전도 여행은 1타 전도 여행 했던 곳을 먼저 들려서 이것에 대한 선초를 하면서 2차 전도 여행을 하는 것입니다. -               제 2차 전도 여행 : 바울과 바나바 가 마가로 인하여 전도여행을 따로 진행함, 바울과 실라가 동행 - 예루 살렘 공의회 문서를 들고 갈라디아 교회부터 방문 하며 2차 전도 여행의 시작 - 아시아로 가고자 하나 성령이 막으셔서 에베소 교회로 가지 못하고 마게도니아로 전도여행 - 빌립보에서 루디아를 만나고 빌립보 교회 (디모데 와 누가를 만남), 데살로니아 교회 개척 (디모데와 실라을 남겨둠)- 고린도 교회 (브리스 길라 와 아굴라를 만남) 에서 1년 6개월 사역 하면서 행 18장 1- 18 이후에  데살로니아 전,후서, 갈라디아서를 기록함  (데살로니아 전, 후서와 갈라디아서를 기록하게 되는 배경을 알아야 성경을 보면서 더욱 이해 할수 있어요) 그래서 사도행전 주안에 살전,후서 그리고 갈라디아서 공부 예정입니다 - 브리스 길라 와 아굴라는 에베소에 머뭄 – 겐그레이 – 안디옥 (3차 전도 여행 준비) * 삽입: 행 18: 24 – 19:1 아볼로의 이야기 아볼로는 알렉산드리아 사람이 에베소로 브르스길라 과 아굴라를 찾아감,,, 스테반 처럼 지식이 충만한 사람이기에 이 사람을 고린도 교회로 파송함 - 제 3차 전도 여행 시작 : 행 19: 1- 20   안디옥 - 다소 - 더베 - 루스드라 - 이고니온 - 비시디아 안디옥 (갈라디아 지역의 교회를 굳건히 함) 브루기아 - 에베소 (2년 정도 사역 하면서 고린도 전서 서신서)   참고: 에베소 지역은 색과 마법의 도시, 아데미 여신의 숭배.. 그래서 이적이 많이 일어남 에베소에 있을때 고린도에서 스데바나, 브드나도, 아가이고 (고전16:17) 가 바울를 찾아오게 됩니다.이들이 그냥 온것이 아니고, 바울이 고린도 교회를 떠난 이후 발생한 이런 저런 문제들을 다 적어 온 것입니다. 그 내용은 혼인에 대한 문제, 우상 에게 바쳤던 고기를 먹어야 하는가?, 성적인 타락, 여인들의 두건을 두르고 예배 하는 문제, 은사 관련, 성 만찬 에 대한 설명, 특별히 분파에 대한 문제 (바볼로파, 게바파, 바울파…)  그리고 고린도에 있던 아볼로가 찾아와서 고린도의 소식을 전함… 그래서 고린도에 편지를 쓰게 됩니다 (행 19: 21- 22) , 내일 부터 묵상 할 사도 행전 20장 부터는 바울이 에베소를 출발 – 앗소 – 드로아 – 마게도냐 빌립보 에 도착하여 그곳에서, 고린도 에서 돌아온 디도를 만나게 되고 (고후 7:5-6). 디도는 바울에게 고린도 교회의 대다수가 그를 따랐으며 그의 말에 순종하였다는 좋은 소식을 전해 주었고, 이러한 기쁨이 바울로 하여금 고린도후서를 기록하게 됩니다. 그리고는 결국에 고린도의 재 방문 및 교육 (이곳에서 3개월 간 머룰 면서 로마서 기록합니다, 행 20:2-3) – 이후에 마게도냐 베뢰아 – 마게도냐 데살로니가  – 마게도냐 빌립보 – 드로아 (유두고를 살림) – 밀레도 – 두로 – 가이샤랴 – 예루살렘     -               4차 전도 여행 : 예루살렘에서 체포 감금 (가이샤랴 감옥 2년 정도) 여기서 옥중 서신서을 기록함 (골로세서, 빌레몬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이때 누가 가 함께 하면서 누가도 예루살렘에서 누가 복음서를 기록하게 됩니다. (바울은 비록 옥에 갖혀 있지만, 이 시간에도 성령님의 역사하심으로 유명한 옥중서신을 기록하게 되며, 바울의 옥 바라지를 하며, 누가는 예루살렘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예수님에 대한 자료들을 모아서 누가 복음을 기록하게 됩니다) -               감옥에서 석방 후 4차 선교 여행중 목회서신 (디모데 전서, 디도서를 기록함) : AD 62 – 66년 경 -  그 이후 2차 로마 감옥에 수감 (목회 서신: 디모데 후서 기록, AD 66 - 67년 경) , 그리고 사도 바울의 순교 -  AD 70년 예루살렘 성의 멸망.  |